남양: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사GIS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남양도호부선정비.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남양도호부 선정비]]
== 남양의 역사 ==
== 남양의 역사 ==
=== 삼국시기 ===
=== 삼국시기 ===
남양도호부에 대해 『세종실록지리지』는 다음과 같이 연혁을 전하고 있다.<br/>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인데, 신라가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고려가 옛 이름[唐城]으로 복구하여, 현종(顯宗) 무오에 수주(水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인주(仁州)에 옮겨 붙였으며, 명종(明宗) 2년 임진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忠烈王) 16년 경인에 고을 사람 홍다구(洪茶丘)가 원나라에 벼슬하여 정동행성 우승(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고, 뒤에 또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34년 무신에 또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충선왕 2년 경술에 모든 목(牧)을 없앰에 따라 남양부(南陽府)로 강등되어,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태종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
'''남양도호부'''에 대해 『세종실록지리지』는 다음과 같이 연혁을 전하고 있다.“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인데, 신라가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고려가 옛 이름[唐城]으로 복구하여, 현종(顯宗) 무오에 수주(水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인주(仁州)에 옮겨 붙였으며, 명종(明宗) 2년 임진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忠烈王) 16년 경인에 고을 사람 홍다구(洪茶丘)가 원나라에 벼슬하여 정동행성 우승(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고, 뒤에 또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34년 무신에 또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충선왕 2년 경술에 모든 목(牧)을 없앰에 따라 남양부(南陽府)로 강등되어,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태종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ref>[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f>


=== 고려 ===
=== 고려 ===
13번째 줄: 15번째 줄:
=== 행정지명 ===
=== 행정지명 ===
* 동탄
* 동탄
** A, B, C, D
* 남양
* 남양
** A, B, C, D
* 향남
* 향남
** A, B, C, D
== 표 테스트 ==
{| class="wikitable"
! 주제별 !! 주제별(2) !! 표      석      명 !! 표        석        문        안
|-
| 사회 || 교육 || 서울대학교 터 || 1946년 8월4일 국립 서울대학교로 발족, 1975년 3월 관악산(冠岳山) 기슭으로 이전되었다.
|-
| 사회 || 인물 ||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br>忠武公李舜臣生家址<br>Site of Yi Sunsin's Birthplace || 이순신(1545~1598)은 조선 중기의 명장이다. 선조25년(1592) 임진왜란 당시 옥포, 한산도 등에서 해전을 승리로 이끌어 국가를 위기에서 건져내었다. 선조31년(1598) 노량에서 전사하였으며 글에도 능하여 <난중일기>를 비롯하여 시조와 한시 등을 많이 남겼다.
|-
| 정치 || 기타 || 소의문 터<br>昭義門址<br>Site of Souimun Gate || 한양도성의 사소문(四小門) 중 하나로, 서남쪽에 있어 서소문(西小門)으로 불린 소의문이 있던 자리이다. 1396년(태조 5) 건립할 당시에는 소덕문(昭德門)이라고 했으나 1744년(영조 20) 소의문으로 바꿨다. 1914년 일제가 철거하였다.<br>This site is where Souimun, one of the Four Secondary Gates of the Seoul City Wall, had stood until 1914 when it was demo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then ruling Korea.
|-
| 정치 || 기타 || 남소문 터<br>南小門址 || 서울의 소문(小門)으로 세조(世祖) 때 세우다. 예종원년(睿宗元年 1469), 음양설(陰陽說)에 따라 철거, 그후 일제(日帝)시대 주초(柱礎)마저 없어지게 되었다.
|-
| 정치 || 국방 || 군자감(軍資監)<br>강감(江監) 터 || 태조 4년(1395)~광무 2년(1898) 전국 군전(軍田)에서 군량을 받아드려 저장하던 관아 자리
|-
| 사회 || 인물 || 세종대왕 나신 곳 || 서울 북부 준수방(이 근처)에서 겨레의 성군이신 세종대왕이 태조 6년(1397) 태종의 셋째 아드님으로 태어나셨다.
|}


=== 산천 ===
=== 산천 ===
=== 도로 ===
=== 도로 ===
== 주석 ==

2024년 9월 30일 (월) 14:38 기준 최신판

남양도호부 선정비

남양의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삼국시기[편집 | 원본 편집]

남양도호부에 대해 『세종실록지리지』는 다음과 같이 연혁을 전하고 있다.“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인데, 신라가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고려가 옛 이름[唐城]으로 복구하여, 현종(顯宗) 무오에 수주(水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인주(仁州)에 옮겨 붙였으며, 명종(明宗) 2년 임진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忠烈王) 16년 경인에 고을 사람 홍다구(洪茶丘)가 원나라에 벼슬하여 정동행성 우승(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고, 뒤에 또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34년 무신에 또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충선왕 2년 경술에 모든 목(牧)을 없앰에 따라 남양부(南陽府)로 강등되어,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태종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 [1]

고려[편집 | 원본 편집]

조선[편집 | 원본 편집]

일제강점기[편집 | 원본 편집]

현대[편집 | 원본 편집]

남양의 지명[편집 | 원본 편집]

행정지명[편집 | 원본 편집]

  • 동탄
    • A, B, C, D
  • 남양
    • A, B, C, D
  • 향남
    • A, B, C, D

표 테스트[편집 | 원본 편집]

주제별 주제별(2) 표 석 명 표 석 문 안
사회 교육 서울대학교 터 1946년 8월4일 국립 서울대학교로 발족, 1975년 3월 관악산(冠岳山) 기슭으로 이전되었다.
사회 인물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忠武公李舜臣生家址
Site of Yi Sunsin's Birthplace
이순신(1545~1598)은 조선 중기의 명장이다. 선조25년(1592) 임진왜란 당시 옥포, 한산도 등에서 해전을 승리로 이끌어 국가를 위기에서 건져내었다. 선조31년(1598) 노량에서 전사하였으며 글에도 능하여 <난중일기>를 비롯하여 시조와 한시 등을 많이 남겼다.
정치 기타 소의문 터
昭義門址
Site of Souimun Gate
한양도성의 사소문(四小門) 중 하나로, 서남쪽에 있어 서소문(西小門)으로 불린 소의문이 있던 자리이다. 1396년(태조 5) 건립할 당시에는 소덕문(昭德門)이라고 했으나 1744년(영조 20) 소의문으로 바꿨다. 1914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This site is where Souimun, one of the Four Secondary Gates of the Seoul City Wall, had stood until 1914 when it was demo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then ruling Korea.
정치 기타 남소문 터
南小門址
서울의 소문(小門)으로 세조(世祖) 때 세우다. 예종원년(睿宗元年 1469), 음양설(陰陽說)에 따라 철거, 그후 일제(日帝)시대 주초(柱礎)마저 없어지게 되었다.
정치 국방 군자감(軍資監)
강감(江監) 터
태조 4년(1395)~광무 2년(1898) 전국 군전(軍田)에서 군량을 받아드려 저장하던 관아 자리
사회 인물 세종대왕 나신 곳 서울 북부 준수방(이 근처)에서 겨레의 성군이신 세종대왕이 태조 6년(1397) 태종의 셋째 아드님으로 태어나셨다.

산천[편집 | 원본 편집]

도로[편집 | 원본 편집]

주석[편집 | 원본 편집]

  1.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